우연히 알고리즘에 뜬 월가아재라는 유튜브 채널을 보면서 주식 투자에 대한 좋은 뷰를 많이 접할 수 있었다. 내가 월가 아재 채널을 좋아하는 이유는 분석이 다면적이고, 신중하고, 심도깊기 때문인데 단편적인 현상에만 몰두하는 다른 경제 채널과의 차별점이 좀더 진정성이 느껴졌던 것 같다.
밸리에이아이 플랫폼
이 채널을 운영하시는 최한철님은 유튜버만 하시는게 아니고 금융계에서 쌓은 커리어를 바탕으로 금융투자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계셨다. 집단지성을 근거로 한 투자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는 뉴로퓨전이라는 회사인데, 지금 이 회사에서 개발중인 웹 프로덕트가 바로 Valley AI라는 서비스이다. 초보자부터 고수까지 주식 투자에 관련해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인데 핵심 기능으로는 투자데이터와 투자콘텐츠가 있다. 필자는 올해부터 이 서비스를 투자에 활용하고 있다. (공짜 서비스는 아니고 유료 구독이 필요한 서비스이다)
투자데이터
투자 데이터는 기업의 재무제표, 거시경제 지표, 통계 툴, 퀀트엔진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로 요약해볼 수 있다.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상당히 폭넓게 제공하고 있어서 이런 저런 다른 서비스를 안 써도 한곳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든다. 다만 너무 많은 정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소화할지에 대해서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순간이 종종 있다.
투자콘텐츠
투자 콘텐츠는 경제지 기사, 투자 강의, 투자 관련 영상 등을 포함한다. Valley AI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무엇보다 좋은점은 투자 강의를 통해 어떻게 투자를 해야하는지를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야 보배라는 말이 있듯, 아무리 투자에 대한 정보가 넘쳐 흘러도 이를 자기 관점으로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면 수익률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것이다. 이를 극복하게 해주는 벨리에이아이의 다양한 투자 콘텐츠는 필자 뿐만 아니고 대부분의 플랫폼 이용자가 가장 만족을 느끼는 부분이지 않을까 싶다.
벨리에이아이 장단점
장점으로는 투자에 열정이 넘치는 많은 사람들이 이 플랫폼에 모여있는 만큼 양질의 정보들이 집중되기 때문에 나의 투자생활에도 분명히 도움이 되고 있다는 점 일것이다. 또 뉴로퓨전 측에서도 상당히 열정적으로 서비스를 키워가려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아직은 초창기라서 더 얻을 수 있는 혜택도 분명히 있는 것 같다.
단점으로는 콘텐츠와 데이터의 양이 너무 방대하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료 또한 만만치 않다는점인데 이를 의식해서인지 최근에 벨리에이아이에서도 Valley Lite라는 구독제를 추가해서 더 저렴한 비용으로 콤팩트한 데이터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출시했다. 해당 요금제 출시에 맞춰서 추천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서 필자도 이를 홍보하기 위해 아래에는 Valley Lite유저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소개 해본다.
Valley Lite
제공하는 서비스는 총 3개의 파트로 나뉘는데 우선 플랫폼의 기능 측면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콘텐츠 측면에서는 우선 좀더 투자와 직결되는 시황에 집중하는 콘텐츠를 발행하는 WSAJ 프리미엄 콘텐츠를 볼수 있고
좀더 넓게 세상을 이해하고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인 Studio Valley도 볼 수 있다고 한다.
혹시 이 글을 읽고 관심이 생겨서 Valley Lite에 가입하실 분들은 이 링크를 이용해주시면 필자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FR ETF는 무엇이고 투자해도 좋은것일까? (0) | 2024.07.28 |
---|---|
초보 재테크 가이드 - 투자 기본 상식 (1) (1) | 2023.03.03 |
P2P 투자란? (1) | 2023.03.02 |
환율이란? 환율과 금리의 관계는? 금리인상? 원달러 환율(원) (1) | 2023.02.16 |
햇살론 대출자격 및 대출한도 3분만에 알아보기 (1) | 2023.02.10 |